제사 상차림
진설법
제사상차림이란 마련된 제기와 제수를 제상에 격식을 갖추어 배열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제수 진설법(祭羞陳設法)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사 상차림의 양태가 지방마다 가정마다 각기 달라 일명 ‘가가례(家家禮)’라 할 만큼 다양하다.
이처럼 제수 진설이 다양한 것은 각종 예서에 나타나는 진설법이 각각 다르다는 데 가장 큰 원인 이 있다. 그러나 상차림의 기본원칙은 공통적이며 관행적으로 지켜지고 있는 격식이 있다. 제사 상차림의 기본원칙은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의 좌우를 바꿔놓고 좌우의 균형을 잡는데에 있다. 제사에서는 신위가 놓인 곳을 북쪽으로 한다. 신위의 오른쪽은 동족, 신위의 왼쪽은 서쪽이다.
(제사지내는 사람의 편에서 보면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이다.)
진설법의 기본 : 탕을 놓고 5열로 차린다
- - 반서갱동(飯西羹東) : 제사자의 입장에서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으로 놓는다. 이는 산 사람의 상차림과 반대이다.
따라서 숟가락과 젓가락은 중앙에 놓는다.
- - 고서비동(考西妣東) : 남자조상은 서쪽, 여자조상은 동쪽이라는 뜻이다. 남자의 신위, 밥, 국, 술잔은 왼쪽에 놓고 여자조상은
오른쪽에 놓는다.
- -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오른쪽, 고기는 왼쪽에 놓는다.
- - 두동미서(頭東尾西) : 머리와 꼬리가 분명한 제수는 높은 방위인 동쪽 오른쪽(제사자의 입장)으로 머리가 가고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놓는다.
- -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말이다.
- - 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에서부터 대추, 밤, 배, 감(곶감)의 순으로 놓으며 배와 감은 순서를 바꾸기도 한다.
합설(合設)한다
조상의 제사를 모실 때 배우자가 있을 경우 두 분을 함께 모신다.
즉 아버지의 기일에 어머니도 함께 모신다. 그런데 이때는 두 분의 제사를 하나의 제상에 함께 지낸다. 합설은 밥, 국, 술잔만 따로 차리고 기타의 제수는 공통이다.
제사절차
영신(迎神) : 먼저 문을 열어 놓는다.
제상의 뒤(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신주, 지방, 또는 사진을 모셔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강신(降神) : 제사 드릴 신을 제소(재상앞)로 강림시키는 절차이다.
제상의 뒤(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신주, 지방, 또는 사진을 모셔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참신(參神)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써 제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지정된 자리에서 일제히 두 번씩 절한다.
진찬(進饌)
이는 더운 음식을 올리는 절차이다.
초헌(初獻)
주인이 첫 번째 술을 올리는 절차이다.
이 절차는 제사의 핵심이며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독축(讀祝)
초헌이 끝나면 참사자 모두 꿇어 앉는다.
제주가 꿇어앉은 왼쪽에서 축관이 축을 천천히 엄숙하게 읽는다.
독축이 끝나면 제주가 일어나서 재배(再拜)한다.
집사는 잔에 담긴 술을 퇴주그릇에 붓고 비워 놓는다.
* 축관이 따로 없으면 제주가 직접 읽어도 무방하다.
또한 옛날에는 독촉 후 부모의 기제사에는 반드시 곡(哭)을 하였으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생략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예법이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어야 한다.
아헌(亞獻)
신위에 올리는 두 번째 헌작이다.
잔을 올리는 의식은 초헌 때와 같다.
다만 주부가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제사는 부부가 함께 한다.
(夫婦共祭)”는 정신에서 나온 예법이다.
종헌(綜獻)
이는 삼헌이라고도 하며 제향에서 마지막으로 올리는 잔이다.
주인의 형제 중에서 행하거나 장남 또는 친지들 중에서도 할 수 있다.
종헌 후에는 술을 퇴줏그릇에 붓지 않고 그대로 둔다.
첨작(添酌)
종헌 후 제주가 신위 앞에 다시 꿇어앉으면 집사가 종헌 때 덜 채운 술잔에 세 번 첨작(잔에 더하 여 따름),가득 채운다.
-이는 술을 더 권하는 의식으로 첨잔(添盞)이라고도 한다.
삽시정저(揷匙正著)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메(밥)그릇 뚜껑을 열고 그 위에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고쳐 놓는다.
숟가락의 안쪽이 동쪽을 향하게 하며, 젓가락은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하게 놓는다.
제주와 주부는 재배한 후 제자리로 돌아간다.
* 첨작과 삽시정저의 두 절차를 흔히 유식(유식)이라 하는데 이는 ‘진지를 권하는 의식’이다.
합문(闔門)
참사자 모두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3,4분 가량 기다린다.
단칸방의 경우는 제자리에 엎드리거나 남자는 동편에 서서 서쪽을 향하고, 주부이하 여자들은 서편에 서서 동으로 향하여 엎드려 몇 분이 지난 후 일어난다.
개문(開門)
축관(祝官)이 기침소리 3번으로 신호하면 닫았던 문을 다시 열고 참사자 모두가 들어간다.
진다(進茶)
국그릇(갱)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뒤 메(밥) 세 술을 조금씩 떠 물에 말고 저를 고른다.
참사자 전원은 머리를 숙이고 있다가 고개를 든다.
-이는 첨작 때와 같이 식사를 조금 더 권하는 의식이다.
복받기: 수조(受祚)와 음복(飮福)
이는 제사를 지낸 사람이 귀신으로부터 반대로 복을 내려 받는 의식이다.
집사가 주인에게 술 한 잔과 음식을 조금 내려 주면서, “복을받으십시오. ”라고 축복한다.
주인이 잔반을 받아 술을 조금 고수레하고 나서 맛을 본 뒤 음식도 조금 맛보는 것으로 의식을 마친다. 이를 우리나라에서는 음복이라 한다.
사신(辭神) : 신위를 전송하는 절차이다.
제사의 참여자 전원은 재배한다.
지방(紙榜)과 축문(祝文)을 불사른다.
신주는 사당으로 다시 모신다.
지방쓰기
- 지방에는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지만 신주를 약식화한 것이므로 신주의 체제에 유사하게 제작하는 것이 좋다. 문안을 쓸 때에는 붓을 사용하여 한자로 쓰는 것이 좋으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적당한 필기구를 이용하여 한글로 작성하여도 무방하다.
- 지방의 규격은 가로 6㎝, 세로 22㎝의 깨끗한 한지에 먹으로 쓴다.한 장의 지방에 한 분의 신위만을 쓸 때는 중앙에, 한 장에 두 분의 신위를 모실 때에는 좌고우비(고서 비동) 즉, 고위(돌아가신 부친)는 왼쪽에, 비위(돌아가신 모친)는 오른쪽에 쓴다.
- 일반적으로 남자고인의 경우 '顯考官學生府君神位'를 쓰는데, '학생'이란말은 과거를 준비 중인 사람들을 지칭하던 용어이다. 따라서 벼슬이있으면'學生'대신에 벼슬의 관직(예를 들면'崇祿大夫'등) 을 쓰고 그 부인은 '孺人' 대신에 貞敬婦人을 쓴다. '孺人' 다음에는 본관성씨를 쓴다.



일정한 직함이 없는 여성은 유인(孺人)이라고 쓴다.
'考'는 사후의 '父'를 뜻하며 '妣'는 사후의 母 를 뜻한다.
아내의 제사는 자식이 있더라도 남편이 제사장이 되어 야 하며, 자식의 제사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사장이되는 것이 기본이다.
지방을 붙일 때 왼쪽이 높은 자리, 오른쪽이 낮은 자리 이다. 한 할아버지에 할머니의 제사일 경우 가장 왼쪽이 할아버지, 중간이 본비,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붙인다.